본문 바로가기

투자/지표공부

Pivot

728x90
반응형

Pivot


Pivot은 선물거래와 같이 일일매매가 빈번한 거래에 주로 사용되는 지표로 고가, 저가, 종가를 사용하여 단기적인 중심/지지/저항을 측정한다.

Pivot은 당일 가격 변동폭이 클수록 다음날 Pivot의 지지와 저항 수준이 넓어진다. Pivot 포인트와 1,2차 지지 저항 가운데 Pivot 포인트 자체가 가장 훌륭한 지지와 저항 수준을 보이고 나머지는 신뢰도가 조금 떨어지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가격이 Pivot 포인트 위에 있으면 강세, 아래에 있으면 약세로 판단한다.


Pivot 포인트 돌파

Pivot 포인트 상향돌파 -> 강세 (매수)

Pivot 포인트 하향돌파 -> 약세 (매도)


수식

일봉 수식

2차 저항

(H(1)+L(1)+C(1))/3 + (H(1)-L(1)) 

1차 저항

(H(1)+L(1)+C(1))/3 * 2 - L(1) 

Pivot 포인트

(H(1)+L(1)+C(1))/3

1차 지지

(H(1)+L(1)+C(1))/3 * 2 - H(1)

2차 지지

(H(1)+L(1)+C(1))/3 - (H(1)-L(1)) 


위 수식은 일봉에 적용하는 수식이며 분봉에 적용하면 분봉 기준으로 Pivot포인트가 매번 변경된다. 일봉의 Pivot 포인트를 적용하려면 이 수식을 사용한다.


분봉 수식

2차 저항

(predayhigh()+predaylow()+predayclose())/3 + (predayhigh()-predaylow()) 

1차 저항

(predayhigh()+predaylow()+predayclose())/3 * 2 - predaylow()

Pivot 포인트

(predayhigh()+predaylow()+predayclose())/3

1차 지지

(predayhigh()+predaylow()+predayclose())/3 * 2 - predayhigh()

2차 지지

(predayhigh()+predaylow()+predayclose())/3 - (predayhigh()-predaylow()) 


해당 차트는 300분봉 상 Pivot 지표를 표시한 차트이다.

-빨간 동그라미는 매수포인트이고 남색 동그라미는 매수 청산지점, 파란 동그라미는 매도포인트이고 주황 동그라미는 매도 청산지점이다.


빨간 동그라미, 즉 가격이 pivot 포인트를 상향 돌파한 시점에 매수하여 1차 목표를 1차 저항에 설정한다. 1차 저항을 돌파하면 stoploss를 1차 저항지점으로 설정한다.

이후 가격이 2차 저항을 돌파한다면 stoploss를 2차 저항지점으로 이동시키고 계속 돌파하지 못한다면 stoploss 지점에서 익절컷 함으로써 이익실현이 가능하다.

차트를 살펴보면 꾸준히 관리가 가능하다면 추세를 끝까지 탈 수 있는 방안이 있다. 하지만 단순하게 pivot 포인트로 stoploss 지점을 잡으면 가격 반전에도 안전하게 이익실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있다.

즉, 변동성이 심한 시기에는 추세를 끝까지 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주가 반전에는 대응하기 좋은 지표이다.


이외에도 다른 지표와 Pivot을 응용하여 활용도 가능하다. 피보나치를 접목시킨 피보나치-Pivot  지표 등이 있다.


반응형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V(On Balance Volume)  (0) 2019.04.20
Price Change Line  (0) 2019.04.18
On Balance Price  (0) 2019.04.17
MACD w-SAR  (1) 2019.04.16
PSAR(Parabolic Stop And Reversal)  (1) 2019.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