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지표공부

MACD w-SAR

728x90
반응형

MACD w-SAR


MACD w-SAR은 MACD 지표와 SAR 지표가 결합한 binary wave 지표이다.

MACD선이 Signal선을 돌파한 이후인 강세, 약세 시기와 PSAR 포물선이 반전하는 강세, 약세 시기를 결합해 2부터 -2까지의 숫자로 표현한다.



구성

MACD, PSAR



수식

A = MACD(Short,long)>eavg(MACD(short,long),signal);

B = If(sar(af,maxaf)<C,2,1);

C = If(sar(af,maxaf)>C,-2,-1);

IF(A,B,C)

A = MACD 강세

B = 만약 파라볼릭이 종가보다 낮으면(강세) 2 아니면 1

C = 만약 파라볼릭이 종가보다 크면(약세) -2 아니면 -1

만약 A일 때(MACD가 강세일 때) B(만약 파라볼릭이 종가보다 낮으면(강세) 2 아니면 1) 이고 아니면(MACD가 강세가 아니면) C(만약 파라볼릭이 종가보다 크면(약세) -2 아니면 -1)이다.



해석

매수시기

MACD가 강세일때 PSAR 또한 강세이면 2

MACD가 강세일때 PSAR은 약세이면 1


매도시기

MACD가 약세일때 PSAR은 강세이면 -1

MACD가 약세일때 PSAR 또한 약세이면 -2


붉은 색 영역은 MACD 강세영역, 파란 색 영역은 MACD 약세영역 표시이다.

MACD가 약세인 파란영역에 PSAR까지 약세를 보일 때 -2

MACD가 강세인 붉은영역에 PASR까지 강세를 보일 때 2를 보이고 있다.


추세 강도지표와 함께 결합한다면 진입지표로 상당히 유용하다.

1. 차트만 보면 2018년은 약세장이고 2019년은 강세장이다. 약세장에서 2일때 매도진입 기회, 강세장에서 -2 가 나올 때 매수진입 기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추세가 바뀔시 상당한 손실을 입을 수 있다. (2018년 강한 하락 추세에서 12월 2일 때 매도진입, 2019년 강한 상승 추세에서 2월 -2일 때 매수 진입)

2. 숫자만 보았을 때는 강한 매수와 매도 시기인 2, -2로 전환되는 시점이 매수 매도시기로 이용할 수 있다. (빨간 동그라미, 파란 동그라미 포인트)

3. 추세도중(2,-2)에 진입하려 한다면 1,-1에 진입하는 방법도 유용하다. (2019년 1월을 살펴보면 MACD는 강세이나 PSAR이 살짝 약세를 보이는 시점인 1 시점에 매수 진입한다면 약간의 차익을 거둘 수 있었다.)

지표는 후행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표를 통해 미래를 예견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2,-2 시기에 매수, 매도 신호로 이용한다면 장기간으로 봤을 때 이익이 나는 유용한 지표이다.


해당 곡선은 일봉기준 단순하게 MACD w-SAR 신호가 0선을 상승돌파시 매수, 하향돌파시 매도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 지 성과를 측정한 수익곡선이다.

2006~2019년의 기간동안 0.08의 수익이 있었다.  청산 전략도 단순하게 0선 돌파를 사용했기에 2% 최대허용손실에 걸려 청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청산전략을 새로 설정하면 상당한 수익이 나는 진입이 될 듯 하다.

반응형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vot  (0) 2019.04.18
On Balance Price  (0) 2019.04.17
PSAR(Parabolic Stop And Reversal)  (1) 2019.04.16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0) 2019.04.15
Linear Regression Slope(LRS)  (0) 2019.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