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I(Positive Volume Index)
PVI는 Paul L. Dysart, Jr. 가 개발한 지표로 현재 시장이 활황인지 침체 인지를 구분하는데 사용한다.
거래량이 전일에 비해 증가하는 날을 중심으로 만든 지표로 이와 반대되는 지표로는 NVI(Negative Volume Index)가 있다.
PVI는 OBV 와 같이 값들이 누적되기 때문에 일간 차트에서 주로 사용된다.
NVI 활황장을, PVI는 침체장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기법
Signal선(9일) 돌파
PVI의 Signal선 상향돌파 -> 강세 (매수)
PVI의 Signal선 하향돌파 -> 약세 (매도)
Signal선(300일) 구분
PVI의 Signal선 위에 있을 때 -> 활황 장세 확률 79%
PVI의 Signal선 아래에 있을 때 -> 침체 장세 확률 67%
수식
찾아보니 수식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PVI(Positive Volume Index)
PVI = If(V>V(1),PVI,PVI(1))
기본적인 방식으로 이 수식을 사용한다면 무언가 조건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 PVI를 구할 때 당연히 PVI(1)이 없으므로 0이라는 값이 나올텐데 그럼 뒤로나오는 수식 전부 0의 값으로 고정되어 버린다. 무언가 내가 착각하고 있거나 다른 조건이 있는 듯 하다.
PVI = if(V>V(1),PVI,PVI(1))
이 방식은 한 곳에 수록되어 있었는데 키움도 이 방식을 차용하는 것 같다. 본래의 방식에 PVI(1)을 곱하는 수식만 제외하면 된다.
키움 수식의 경우 내장수식 PVI로 구성되어 있고 정확한 수식 내용을 볼 수는 없다. 다만 이러한 원리로 구성해 볼 수 있다.
수식1
PV=if(V>V(1),(C-C(1))/C(1),0);
sum(PV)*100
수식2
eavg(sum(PV)*100,period)
이 수식을 복사해서 사용하면 된다. 키움 수식과 수치는 다르나 그래프 형태는 그대로 따라간다.
Signal = eavg(PVI,period)
기간의 표준은 9일이다. (period = 9)
기법적용
2018~2019/5 일간 골드 차트에 PVI 적용한 상태이다.
지표의 1은 PVI, 2는 9일 지수이동평균을 나타낸 시그널 선, 3은 300일 지수이동평균을 나타낸 시그널 선이다.
빨간 박스는 PVI가 300일 시그널 위에 있는 활황(79% 확률) 하늘색 박스는 300일 시그널 밑에 있는 침체(67% 확률)의 상황이다.
남색 동그라미는 활황(79%)에서의 PVI가 9일 시그널에서 하락한 상황을 빨간 동그라미는 침체(67%)에서 상승한 상황을 보여준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PVI와 NVI를 같이 살펴보는 것이라고 하며 PVI자체가 주가의 흐름을 따라가기 때문에 300일 시그널을 돌파할 때 매매 해도 일정부분 이익을 취할 수 있으리라 보인다.
[투자/지표공부] - NVI(Negative Volume Index)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VI/NVI (0) | 2019.06.05 |
---|---|
NVI(Negative Volume Index) (0) | 2019.06.04 |
MFI(Money Flow Index) (0) | 2019.05.31 |
Force index(강도 지수) (1) | 2019.05.29 |
Elder-ray (0) | 2019.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