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펄스 시스템은 Alexander Elder 박사가 개발한 지표로 시장의 관성을 측정하는 지표와 모멘텀 지표 두가지를 활용한다.
지수이동평균을 이용해 상승과 하락 추세를 확인하고 MACD 히스토그램을 활용해 강도를 측정한다. 두 지표가 모두 같은 방향을 가르킬 때 신호가 작동한다.
기법
시장에 적용 전 최소 2개 이상의 시간 스케일에서 시장을 분석하라.
예) 주간 차트(장기)가 상승일 때 일간 차트에서는 상승의 방향으로 매매
임펄스 시스템 진입 신호
지수이동평균 상승, MACD 히스토그램 상승 -> 강세 (매수)
지수이동평균 하락, MACD 히스토그램 하락 -> 약세 (매도)
임펄스 시스템 청산 신호
두 지표 중 하나라도 반전한다면 바로 청산한다. 보통 일간 MACD 히스토그램이 먼저 반전하므로 유심히 지켜보다 청산하자.
수식
임펄스 시스템 '매수' 신호
A = (eavg(C,period)>eavg(C(1),period));
B = (MACD(short,long)-eavg(MACD(short,long),signal) >Ref(MACD(short,long)-eavg(MACD(short,long),signal),(1)));
A and B
A는 지수 이동평균이 1봉 전 이동평균보다 높을 경우 B는 MACD 히스토그램이 1봉 전 MACD 히스토그램보다 높은 경우를 말한다.
산출기간 표준은 period = 13 , short = 12, long = 26, signal = 9이다.
임펄스 시스템 '매도' 신호
A = (eavg(C,period)<eavg(C(1),period));
B = (MACD(short,long)-eavg(MACD(short,long),signal) <Ref(MACD(short,long)-eavg(MACD(short,long),signal),(1)));
A and B
A는 지수 이동평균이 1봉 전 이동평균보다 낮을 경우 B는 MACD 히스토그램이 1봉 전 MACD 히스토그램보다 낮은 경우를 말한다.
산출기간 표준은 period = 13 , short = 12, long = 26, signal = 9이다.
기법적용
2018/4 중순부터 2018/10 까지의 골드 일간 차트에 임펄스 시스템 신호를 적용한 차트이다.
삼중 스크린 기법을 쓰지 않고 단순히 신호만 봤을 때, 매도신호 발생(파란색 동그라미) 때 매도하고 일간 히스토그램이 반전하는 시점에 청산(빨간 동그라미)하는 것을 표시해 보았다.
해당 추세는 하락추세시기라 매도가 잘 들어맞았고 8월 말부터 시작된 밀집된 박스권에서는 신호가 교차하며 발생한다.
추세장에 잘 들어맞는 신호이기 때문에 장기 추세가 무엇인지 잘 파악해야하고 그렇기 때문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시간 스케일을 분석해야하는 것이 필수인 신호지표이다.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샹들리에 출구전략 (0) | 2019.06.26 |
---|---|
HPI(Herrick Payoff Index 헤릭 정산 지수) (0) | 2019.06.24 |
미결제약정 (0) | 2019.06.21 |
McClellan Summation Index (0) | 2019.06.20 |
McClellan Oscillator (0) | 201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