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OBV(On Balance Volume) OBV(On Balance Volume) OBV(On Balance Volume)는 Joe Granville이 개발한 지표로 흔히 누적균형거래량이라 부른다. OBV는 현재 주식시장이 매집단계에 있는지 분산 단계에 있는지 분석하는데 도움을 준다.값은 주가가 상승한 날에는 거래량을 더하고 주가가 하락한 날에는 거래량을 빼는 것으로 구하며 주식시장이 큰 변동없이 정체 상태에 있을 때 주가의 추세 방향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특히 단기적 주가변동보다 중장기적인 흐름 파악에 유용하다.단, OBV는 선도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주가 추세 방향의 예측은 가능하지만 실제 발생하는 신호에 관해서는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잘못된 신호가 발생하기 쉽다. 이를 위해 Signal선인 OBV 이동평균선을 추가해서 보는것이 일반.. 더보기
Price Change Line Price Change Line Price Change Line 은 시가를 형성하는 세력의 강도를 누적합산하여 값으로 나타낸 지표이다. 수식Sum((O-C(1))/(Max(Max(H-C(1),C(1)-L),H-L))) A = Max(H-C(1),C(1)-L);(당일고가 - 전일종가) 와 (전일종가 - 당일저가) 중 큰 값B = Max(A,H-L));A 와 (당일고가 - 당일저가) 중 큰 값Sum((O-C(1))/B)(당일시가 - 전일종가) / B 의 수치들을 합산한 값 단독 지표로 쓰기보다는 시가형성 추이를 살펴보는 지표로 참고정도 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당일시가 - 전일종가) 를 (당일고가 - 전일종가), (전일종가 - 당일저가) , (당일고가 - 당일저가) 중 최대값(무조건 양수)으로 나누기 때문.. 더보기
Pivot Pivot Pivot은 선물거래와 같이 일일매매가 빈번한 거래에 주로 사용되는 지표로 고가, 저가, 종가를 사용하여 단기적인 중심/지지/저항을 측정한다.Pivot은 당일 가격 변동폭이 클수록 다음날 Pivot의 지지와 저항 수준이 넓어진다. Pivot 포인트와 1,2차 지지 저항 가운데 Pivot 포인트 자체가 가장 훌륭한 지지와 저항 수준을 보이고 나머지는 신뢰도가 조금 떨어지는 편이다.일반적으로 가격이 Pivot 포인트 위에 있으면 강세, 아래에 있으면 약세로 판단한다. Pivot 포인트 돌파Pivot 포인트 상향돌파 -> 강세 (매수)Pivot 포인트 하향돌파 -> 약세 (매도) 수식일봉 수식2차 저항(H(1)+L(1)+C(1))/3 + (H(1)-L(1)) 1차 저항(H(1)+L(1)+C(1))/.. 더보기
On Balance Price On Balance Price OBP(On Balance Price)는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로 어제와 오늘의 종가를 비교해 상승시 1, 하락시 -1의 점수를 부여한다. 추세를 볼 수는 있으나 강도에 상관없이 단순히 종가의 상승과 하락에 같은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데 주변에 하락봉들이 있으면 OBP는 그다지 상승하지 않는등 모습을 보인다. 수식Sum(If(C>C(1),1,If(C 더보기
MACD w-SAR MACD w-SAR MACD w-SAR은 MACD 지표와 SAR 지표가 결합한 binary wave 지표이다. MACD선이 Signal선을 돌파한 이후인 강세, 약세 시기와 PSAR 포물선이 반전하는 강세, 약세 시기를 결합해 2부터 -2까지의 숫자로 표현한다. 구성MACD, PSAR 수식A = MACD(Short,long)>eavg(MACD(short,long),signal);B = If(sar(af,maxaf)C,-2,-1);IF(A,B,C)A = MACD 강세B = 만약 파라볼릭이 종가보다 낮으면(강세) 2 아니면 1C = 만약 파라볼릭이 종가보다 크면(약세) -2 아니면 -1만약 A일 때(MACD가 강세일 때) B(만약 파라볼릭이 종가보다 낮으면(강세) 2 아니면 1) 이고 아니면(MACD가 강세.. 더보기
PSAR(Parabolic Stop And Reversal) PSAR(Parabolic Stop And Reversal) PSAR, 파라볼릭 지표는 웰즈 와일더(J.Wells Wilder, Jr)가 개발한 지표로 기존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었다 라는 추세 전환 신호를 포물선 형태로 나타낸 지표이다. 가격반전을 찾거나 매매진입, 손절(Stoploss) 등으로 활용가능하다. 매매진입주가가 PSAR 포물선 위로 올라가면 매수주가가 PSAR 포물선 아래로 내려가면 매도 손절선 설정진입이후 PSAR이 새롭게 생성되는 부분을 추적하며 손절선 이동 수식수식은 HTS의 기본 수식인 SAR 기반으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라 구성 방법을 적겠습니다.금일 PSAR = 전일 PSAR+(AF * (EP - 전일 PSAR))AF = 가속 변수EP = 상승시 - 신고가 , 하락시.. 더보기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MACD는 단기 지수 이동 평균 값에서 장기 지수 이동 평균값을 뺀 차이로 두 이동 평균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구성MACD, MACD Signal, 0 기준선으로 구성된다.MACD는 A일과 B일의 차이(보통 12,26일을 사용한다.), MACD Signal은 MACD의 C일 이동평균선(보통 9일을 사용한다.)이다. 기법 MACD, MACD Signal의 교차MACD선이 Signal선 상향 돌파 -> 강세 (매수)MACD선이 Signal선 하향 돌파 -> 약세 (매도)빠른 매수, 매도 신호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속임수 신호가 많다는 점이 단점이다. 0선 돌파0선 상향돌파 -> 강세 (매수)0선 하향돌파 -> 약.. 더보기
Linear Regression Slope(LRS) Linear Regression Slope(LRS) LRS는 과거의 기간(period)를 대상으로 매일 직선회귀선을 계산하여 각 일자의 직선회귀 기울기를 이어서 만드는 지표이다. 단위기간 변화에 따라 가격이 얼마나 변할지 예측할 수 있다.LRS는 추세의 대략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지표이다. 그래서 LRL(직선회귀선)의 설명력(강도)을 알려주는 지표인 R-Squared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법 R-Squared 해석R-Squared는 0부터 1까지의 값을 가지며 직선 회귀선의 값이 높으면 LRS는 가파른 상승 혹은 하락 기울기를 가진다.가격들의 편차가 작을수록 R-Squared 값은 커진다. LRS의 방향하락을 멈추고 반전하여 상승할 때 -> 매수(강세)상승을 멈추고 반전하여 하락할 때 ->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