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지표공부

DMI지표

728x90
반응형

DMI

이른바 ADX로도 많이 알고 있는 수식이다.

추세적 시장과 비추세적 시장을 구분하는 지표로 많이 쓰이며 현재의 시장추세와 추세 강도까지 알려주기 때문에 유용하다.

단기보다는 중기에 적합한 지표이다.


구성

ADX , +DI , -DI 로 구성된다.

+DI는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폭의 비율 -DI는 실질적으로 하락하는 폭의 비율을 나타낸다.


 기법


+DI, -DI의 교차

+DI의 우위 -> 강세 (매수)

-DI의 우위 -> 약세 (매도)

ADX와 함께 사용하며 +DI와 -DI가 교차하는 시점에 ADX가 20선 아래에서 진행되다가 다시 그 값이 커지거나 20선을 상향돌파하는 시점에 +DI, -DI중 값이 큰 지표 방향으로 매매하는 것이 정석 기법이다.

ADX가 상승한다는 것은 +DI, -DI 중 위에 있는 지표의 방향대로 추세가 진행되며 그 강도가 강화된다는 뜻이다.


 수식

DMI

+DI = eavg(if((H-H(1)) > 0 and (H-H(1))>(L(1)-L)(H-H(1)),0) , period)


고가-1전고가가 0보다 크고(and) 고가-1전고가  1전저가 - 저가보다 크면 고가-1전고가 이고 아니면 0이다. 여기서 나온 값을 지수이동평균(eavg)으로 표현한다.


-DI = eavg(if((L(1)-L)>0 and (H-H(1))<(L(1)-L)(L(1)-L), 0 ), period)

1전저가-저가가 0보다 크고(and) 고가-1전고가 가 1전저가 - 저가 보다 작으면 1전저가 - 저가 이고 아니면 0 이다.

여기서 나온 값을 지수이동평균(eavg)으로 표현한다. 


ADX = eavg(abs((+DI)-(-DI))/((+DI)+(-DI)), period) *100

+DI - -DI의 절대값(abs) 을 +DI + -DI 로 나눈 값의 지수이동평균(eavg)로 구한뒤 100을 곱한다.



 기법적용


붉은 자리는 +DI가 우위인 강세국면이고 파란 자리는 -DI가 우위인 약세국면이다.

ADX가 20선을 돌파하는 자리에 +DI가 우위이므로 이때 매수하는 것이 정석기법

반응형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AR(Parabolic Stop And Reversal)  (1) 2019.04.16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0) 2019.04.15
Linear Regression Slope(LRS)  (0) 2019.04.15
Linear Regression Line(직선회귀선)  (1) 2019.04.12
CCI지표  (0) 201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