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HF(Vertical Horizontal Filter)
VHF는 추세 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로 Adam White가 개발했다.
추세 시장인지 비추세 시장인지 구분하는데 유용한 지표로서 해당 시장에 사용할 지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추세장에서는 macd나 이평선 등을 사용하고 비추세장에서는 RSI, Stochastic을 사용하는 방법등 시장에 맞는 지표를 선택한다.
기법
VHF의 상승과 하락
VHF 상승 -> 장이 추세적 방향을 띄고 나아감
값이 커지면 추세적 시장으로 발전한다는 의미이며 추세추종지표를 함께 활용
VHF 하락 -> 장이 비추세적 방향을 띄고 나아감
값이 작아지면 비추세적 시장으로 발전한다는 의미이며 과매수 과매도 지표를 함께 활용
수식
abs(highest(C, Period) - lowest(C, Period)) / sum( abs(C - C(1)), Period)
(기간의 종가중 최대 고가 - 기간의 종가 중 최저 저가)의 절대값을 (현재종가 - 전봉 종가)의 기간 누적합 으로 나눈 값이 VHF 입니다.
기간의 표준은 28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period = 28)
기법적용
100% 적중하는 지표는 아니다. 그렇지만 대략적인 추세장, 비추세장의 측정이 가능하다. 네모 박스를 보면 VHF 값이 꾸준히 빠지는 두 자리를 네모 처리하였다. 값이 빠지면 주가가 횡보를 거듭하는 비추세장의 모습을 보이며 상승하면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추세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비슷한 그래프를 보여주는 지표는 앞서 소개했던 ADX 지표(DMI지표의 한 요소) 인데 상당히 유사한 패턴을 보여준다.
물론 지표 주기가 조금 다른 차이가 있다. VHF = 28일, ADX = 14일 이다. 해당 지표를 해석하는 법으로 값의 수준을 활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살펴보면 그다지 유용한 해석법은 아닌듯 하다. 살펴보면 지표값이 하락하는데 추세적 모습을 보이는 시기도 있다.
값의 크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값의 범위에서 지표값이 얼마나 벗어나느냐가 추세인지 비추세인지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요소인 것으로 보인다.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WI(Band Width Indicator) (0) | 2019.04.29 |
---|---|
ATR(Average True Range) (8) | 2019.04.29 |
TRIX(Tripple Smoothed Moving Averages) (0) | 2019.04.26 |
Stoch RSI (1) | 2019.04.25 |
RSI(Relative Strength Index) (0) | 2019.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