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R(Average True Range)
ATR은 시간에 따른 변동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이런 변동성 측정을 위해서는 TR에 대해서 먼저 알 필요가 있다.
TR(True Range)는 J.Wells Wilder가 소개한 지표로 (당일고가 - 당일저가), (전일종가 - 당일저가), (당일고가 - 전일종가) 중에 최대값을 취해 차트로 표시한다.
이러한 TR의 기간에 대한 이동평균으로 나타낸 지표가 바로 ATR이다.
Wilder는 높은 ATR 값이 투자자의 투매, 시장의 공황 등 매도가 발생한 시장의 바닥에서 발생하고, 낮은 ATR 값은 횡보구간에서 발생한다고 말한다.
주의할점은 횡보구간에서도 큰 폭의 등락을 거듭하는 경우가 있고 직접적인 매도 신호가 아닌 단기적인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해야한다는 점이다.
기법
ATR 채널 돌파 시스템
커티스 페이스의 '터틀의 방식' 에 나온 기법으로 터틀 트레이딩 시스템의 하나이다.
350일 이동평균을 기준으로 상단 채널은 7-ATR, 하단 채널은 3-ATR로 설정한다.
종가의 채널 상향돌파 -> 강세 (매수)
종가의 채널 하향돌파 -> 약세 (매도)
수식
TR
Max(Max(H-C(1),C(1)-L),H-L)
(당일고가 - 전일종가) , (전일종가 - 당일저가) , (당일고가 - 당일저가) 중에 최대값 ,키움은 TR로 수식이 존재한다.
ATR
avg(max(max(h-l,abs(c(1)-h)),abs(c(1)-l)),Period)
TR의 값을 기간(period)로 이동평균한 값. 키움은 ATR로 수식이 존재한다.
ATR 채널
중심값(이동평균) = eavg(C,period)
채널상단 = eavg(C,period) + (7 * ATR(period1))
채널하단 = eavg(C,period) - (3 * ATR(period1))
기간의 표준은 350일 이동평균과 14일기준 ATR (period = 350 , period1 = 14) 이다.
기법적용
윗 차트는 일봉차트, 아래 차트는 300분봉 기준 크루드 오일 차트이다.
원래 기법은 채널 돌파를 확인 후 그 방향으로 매매, 이동평균선에 도달 후 청산이다.
차트를 보면 알겠지만 확실한 추세를 타는 추세장의 경우 이게 통한다. 그런데 가격은 비추세 즉, 박스장인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매매 시점이 몇 번 없고 거짓 돌파도 여러번 보인다.(터틀들이 활동하던 시절과는 움직임이 달라서인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평시에는 채널 하단에 접근하면 매수, 채널 상단에 접근하면 매도하는 전략으로 임하다가 확실한 추세로 확인되었을 때 그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VI(Relative Volatility Index) (0) | 2019.04.30 |
---|---|
BWI(Band Width Indicator) (0) | 2019.04.29 |
VHF(Vertical Horizontal Filter) (0) | 2019.04.26 |
TRIX(Tripple Smoothed Moving Averages) (0) | 2019.04.26 |
Stoch RSI (1) | 2019.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