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지표공부

Relative Momentum Index

728x90
반응형

RMI(Relative Momentum Index)


RMI는 Roger Altman이 개발한 지표로 RSI(상대강도지수)에 모멘텀 개념을 포함시켜 상대모멘텀지수라 부른다.

RSI의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인해 어느정도 주관적 분석을 피할 수 없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표가 RMI이다.

RMI는 전일의 종가와 비교하는 RSI와 다르게 사용자가 정한 기간(n)일의 종가와 비교하는 특징이 있다.




 기법


50선의 교차

RMI의 50선 상향돌파 -> 강세 (매수)

RMI의 50선 하향돌파 -> 약세 (매도)


Signal선의 교차

RMI의 Signal선 상향돌파 -> 강세 (매수)

RMI의 Signal선 하향돌파 -> 약세 (매도)


과매수 과매도

RMI가 30 이하로 하락했다 다시 상승하는 경우 매수 신호(과매도 상태)

RMI가 70 이상으로 상승했다 다시 하락하는 경우 매도 신호(과매수 상태)

RSI와 마찬가지로 같은 수준의 과매수 과매도 영역을 사용한다.

과매수와 과매도신호는 박스권에서는 적중하나 추세장에서는 그렇지않다. 이를 보완하려면 장기 추세추종지표와 함께 활용하자.


다이버전스



 수식


Relative Momentum Index

RMI = if((avg(if(c<c(n),(c(n)-c),0),m))<=0,100,(100-(100/(1+((avg(if(c>c(n),(c-c(n)),0),m))/ (avg(if(c<c(n),(c(n)-c),0),m)))))))   (키움수식)

전자의 avg(if(c<c(n),(c(n)-c),0),m))<=0 는 왠만하면 -값이 나올일이 없기 때문에 꾸준히 상승하는 장을 대비해서 넣어둔 수식같다. 그래서 0의 값이 산출되면 지표값이 100을 결정짓고 나머지는 뒷 수식으로 결정된다.

100-(100/(1+(상승기간 평균/하락기간 평균))) 으로 볼 수 있다.

산출기간은 정해진 기간이 없지만 5일 14일을 주로 사용한다.(n = 5 , m = 14)


RMI

A = sum(if(C-C(n)>0,C-C(n),0),m);

B = sum(if(C(n)-C>0,C(n)-C,0),m);

100*A/(A+B)

키움 수식이 아닌 다른 수식이다. 

산출기간은 역시 5일과 14일을 주로 사용한다.(n =5 , m = 14)


Signal = eavg(RMI,period)

시그널 선의 경우 RMI의 기간(period)의 지수이동평균을 적용해주면 된다. 정해진 기간은 없고 임의로 9일로 설정해 보았다.

키움 영웅문의 경우 두번째 수식에 시그널을 넣으면 시그널선이 처음에는 표시되다가 사라진다. 상단의 수식을 복사해 적용하자.




 기법적용

해당 차트는 2018~2019/5 까지의 골드 일간 차트에 RMI를 적용한 상태이다.

큰 움직임은 RSI와 유사하게 움직이지만 많은 스파이크를 형성하는 RSI와는 다르게 완만한 형태를 띄고있다.

RMI의 기법은 이 차트상에서는 50선 돌파, 다이버전스가 가장 잘 통하는 편이다. 시그널 교차기법은 키움 설명상에는 없지만 해외에서 사용하는 방식인데 시점 찾기가 쉽지 않고 허위 신호 발생이 빈번하다. 기간을 최적화 하던지 개선이 없으면 사용하지 않는 편이 좋을 듯 하다.

과매수 과매도의 경우 비추세 상태 혹은 변동이 큰 추세에서 어느정도 들어 맞는다. 강한 추세를 띈 상황에서는(신고가 돌파 혹은 신저가 돌파) 왠만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반응형

'투자 > 지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ng Index  (0) 2019.05.22
RWI(Random Walk Index)  (0) 2019.05.21
Price Oscillator  (0) 2019.05.17
Momentum  (0) 2019.05.16
Mass Index  (0) 2019.05.15